맨위로가기

영창공주 (만력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창공주는 명나라 만력제의 딸로, 1582년에 태어나 1647년에 사망했다. 1596년 양춘원과 혼인하여 5남을 낳았으며, 만력제, 천계제, 순치제 시대에 걸쳐 황실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다. 명나라 멸망 후에는 재산을 몰수당하고 남편의 고향으로 쫓겨났으나, 청나라 순치제의 예우를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력제의 황녀 - 운몽공주
    운몽공주는 명나라 만력제의 딸이자 태창제의 여동생이며, 1587년에 요절하여 운몽공주로 추증되었고 금산에 매장되었으며, 정릉 발굴에서 효정태후의 부장품으로 동의가 출토되었다.
  • 만력제의 황녀 - 선거공주
    선거공주는 명나라 만력제의 장녀로, 1584년에 태어나 이듬해 사망하여 선거현 공주로 추증되었으며, 금산에 묻혔다.
  • 명나라의 공주 - 곤의공주
  • 명나라의 공주 - 운몽공주
    운몽공주는 명나라 만력제의 딸이자 태창제의 여동생이며, 1587년에 요절하여 운몽공주로 추증되었고 금산에 매장되었으며, 정릉 발굴에서 효정태후의 부장품으로 동의가 출토되었다.
  • 1582년 출생 - 태창제
    만력제의 장남인 태창제는 황태자 책봉 과정의 정쟁과 암살 미수 사건을 겪고 즉위 29일 만에 급서하여,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과 관련된 미스터리는 명나라 말기 정치적 혼란의 중요한 요소로 평가받는다.
  • 1582년 출생 - 그레고리오 알레그리
    그레고리오 알레그리는 17세기 이탈리아 바로크 시대 작곡가이자 시스티나 성당 합창단 알토 가수로, 조반니 베르나르디노 나니노에게 음악 교육을 받고 페르모 대성당에서 생계를 유지하며 종교 음악을 작곡했으며, 특히 미제레레는 시스티나 성당에서 매년 연주되고 모차르트의 필사 일화로 유명하며, 콘체르타토 양식과 팔레스트리나 양식을 융합한 독특한 스타일로 초기 현악 사중주 작곡가로도 평가받는다.
영창공주 (만력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주헌영 (朱軒媖)
작위공주
별호영창공주, 영창대장공주
출생
출생일만력 9년 (1582년)
출생지베이징
사망
사망일순치 4년 (1647년)
가문
왕조
아버지만력제
어머니효단현황후
혼인
배우자양춘원 (楊春元)
자녀양광기 (楊光夔)
양광고 (楊光皋)
양광단 (楊光旦)
양광익 (楊光益)
양광용 (楊光龙)

2. 생애

1596년, 주현영은 영창공주(榮昌公主)의 작위를 받았다. 같은 해 5월, 그녀는 양춘원(楊春元)과 혼인하였으며,[1] 양춘원은 이로 인해 만력제로부터 명을 받았다.[2] 그들의 첫 아들 광괴(廣魁)는 1600년에 태어났다.

영창공주의 가족은 황실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는데, 1608년에 그녀의 장남이 금의위에 임명된 사실이 이를 보여준다.[3] 또한, 명실록에 따르면 그녀는 1620년까지 언니인 수녕공주, 귀왕(Gui)과 예왕(Rui)과 함께 조정에 참석하여 의식과 의례에 참여했다.[4]

1621년 5월, 영창공주의 조카인 천계제는 그의 부계 조상들에게 영예를 수여했다. 영창공주는 '태장공주 영창(大長公主榮昌)'이라는 작위를 받았다.[5][6]

2. 1. 출신

영창공주는 1582년 명나라 신종 만력제왕황후 사이에서 태어났다. 명 신종은 1578년 왕희저를 황후로 책봉하였고, 왕황후는 1582년에 영창공주를 낳았다. 영창공주는 신종의 첫째 딸이자 유일한 적녀였다.

2. 2. 혼인

1596년(만력 24년) 12월, 신종은 자신의 장녀 주헌영을 영창공주로 책봉하고, 양춘원을 부마도위로 선발하여 혼인시켰다.[1][2] 양춘원은 부마가 된 후에도 효도와 예의를 다했으며, 영창공주는 양춘원과의 사이에서 양광기, 양광고, 양광단, 양광익, 양광용 등 5남을 낳았다. 첫 아들 양광괴는 1600년에 태어났다. 영창공주의 장남은 1608년금의위에 임명되었다.[3] 1621년 5월, 영창공주는 천계제로부터 '태장공주 영창(大長公主榮昌)'이라는 작위를 받았다.[5][6]

2. 3. 부마 도주 사건

만력 32년(1604년), 영창공주는 부마 양춘원과 말다툼을 벌였다.[7] 만력제는 딸을 대신하여 분노하여 황제의 칙서를 내려 사위를 꾸짖었다.[7] 이에 양춘원은 관직을 버리고, 소형 2인용 가마(litter)를 타고 고향인 허베이성 랑팡시 고안현으로 돌아갔다.[8] 만력제는 더욱 화가 나서 양춘원의 아버지의 직위를 박탈하고, 금의위를 보내 양춘원을 베이징으로 압송하려 했다.[8] 그러나 양춘원은 스스로 돌아와 뉘우쳤고, 만력제는 예부에 명하여 부마를 국자감으로 보내 예법을 배우게 하였다.[9] 백일 후, 양춘원과 그의 아버지는 복직되었다.[9]

만력 44년(1616년) 7월, 양춘원의 어머니 이씨가 병사하자, 양춘원은 7일간 식음을 전폐하다가 7월 9일, 35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조정에서는 부마와 부마의 어머니를 제장하였다.

2. 4. 명나라 말기의 재난과 청나라 초기

1620년(만력 48년), 영창공주의 아버지 명 신종과 어머니 왕황후가 차례로 사망하고, 이복동생 주상락이 명 광종으로 즉위하여 연호를 태창으로 정했다. 그러나 명 광종은 재위 한 달여 만에 사망하였고, 조카 주유교가 명 희종으로 즉위하였다. 명 희종은 태창 원년 11월 신해일, 고모 영창공주를 영창대장공주로 봉했다.

1644년 4월 24일, 이자성이 이끄는 반란군이 베이징을 점령하고 숭정제가 자살하면서 명나라가 멸망하였다. 이자성의 군대가 순나라를 통해 명나라를 숙청하려 하자 영창공주의 자녀 4명이 살해되었다. 6월 5일, 청나라 군대가 베이징에 입성했다. 영창공주는 청나라에 협력하려 했으나, 소작농들이 작물 제출을 거부하여 재산을 몰수당하고 남편의 고향인 고안현으로 쫓겨났다. 이때 그녀에게는 유일하게 생존한 아들과 13명의 손자녀가 있었다.

청나라 순치제는 영창공주를 예우하여 그녀의 손자 양칭위(楊慶餘)와 양치위(楊旗餘)를 금의위에 임명했다. 이들은 영창공주의 넷째 아들 광의의 자녀였다.[10]

영창공주는 만력제의 마지막 자녀로 1647년에 사망했다.

2. 5. 사망

영창공주는 순치 4년(1647년)에 베이징에서 6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공주가 세상을 떠나면서, 명 신종의 자녀 중 마지막 생존자가 되었다.

청나라 군대가 입경한 후, 명나라 종실을 예우하겠다고 하였으나, 실제로는 북경에 있는 공주의 집들이 징집되어 군대의 거처로 사용되었다. 공주와 자손들은 남편의 고향인 고안현으로 쫓겨났고, 소작인들은 청나라의 힘을 믿고 소작료를 내지 않거나 오히려 공주를 고소하기도 하였다.

1644년 4월 24일, 이자성이 이끄는 반란군이 베이징을 점령하고 숭정제가 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자성의 군대가 순나라를 통해 명나라를 숙청하려 하자 영창공주의 자녀 4명이 살해되었다. 6월 5일, 청군이 베이징에 입성했다. 영창공주는 청나라에 식량을 제공하려 했지만, 소작농들이 작물을 내놓기를 거부했다. 결국 영창공주의 모든 재산은 군대에 넘어가고, 남편 고향인 고안현으로 보내졌으며, 유일하게 생존한 아들과 13명의 손자녀와 함께였다고 한다.

1644년, 청나라순치제는 영창공주에게 호의를 베풀어 그녀의 손자인 양칭위(楊慶餘)와 양치위(楊旗餘)를 금의위에 임명하기도 했다. 이들은 영창공주의 넷째 아들 광의의 자녀였다.[10]

3. 가계

영창공주의 아버지는 명 신종 주익균(1563년 - 1620년)이며, 어머니는 효단현황후 왕희저(1564년 - 1620년)이다. 남편은 양춘원(1582년 - 1616년)이다.

4. 일화

명나라 초기에는 공주와 공신을 혼인시키는 경우가 있었으나, 이후에는 서민 자제를 부마로 선발하는 것이 관례였다. 명 헌종의 장녀 인화공주가 부마 제세영에게 시집간 이후, 공주들은 모두 서민에게 하가하였다. 영창공주 때부터 부마를 벼슬아치 집안 자제로 선택하기 시작했는데, 영창공주의 부마 양춘원의 할아버지 양유진은 태복경을 지냈고, 정덕 신사년의 과거 장원이었다.

명나라 말기 시인 오위업은 영덕공주 부부의 명나라 멸망 후의 삶을 주제로 한 시 '소사청문곡'에서 영창공주가 숭정제의 생모 유숙녀를 보고 숭정제의 태자를 끌어안고 이름을 불렀다는 내용을 남겼다. 이는 영창공주가 황실 가족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음을 보여준다.

5. 평가

참조

[1] 서적 History Office 1620
[2] 서적 History Office 1620
[3] 서적 History Office 1620
[4] 서적 History Office 1620
[5]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https://books.google[...] Routledge
[6] 서적 History Office 1620
[7] 서적 History Office 1620
[8] 서적 History Office 1620
[9] 서적 History Office 1620
[10] 서적 Wang Songyu 18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